2015년 6월 7일 일요일

SoC 를 하는게 왜? 어려운가? ( 무어의 법칙을 다루기)

무어의 법칙을 다루는 복잡도

복잡도(Complexity) 를 아시나요?
O(N) 또는 O(N*Log N) 같은것들 기억하시는지?

무어의법칙은 O(N) 으로 증가합니다.

멧칼프의 법칙 

그런데 멧칼프의 법칙은 O(N^2) 로 증가합니다.

망 사용자가 N 배 증가하면 효용성이 N^2 만큼 증가한다는게 멧칼프 법칙입니다.

효용성을 N^2 만큼 늘리려면 복잡도도 N^2 만큼 증가하게 됩니다.

무어의 법칙에 따라 SoC 의 집적도가 높아질수록, SoC Bus 사용자(IP) 가 증가하게되고
이것은 O(N^2) 만큼 증가합니다.

멧칼프의 법칙에 따라 점점더 복잡해집니다.

이러한부분이 Risk 로 작용하게 됩니다.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참고로 이러한 복잡도는 소프트웨어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해서 소프트웨어에서는 디미터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디미터의 법칙

복잡도를 다루기 위해서 나는 내 친구와만 이야기한다.
(구체적으로는 한 Class 안에서 생성한 객체 또는 Class 멤버가 포인팅 하고있는 객체의 메쏘드만 호출한다)

온세상이 너무 사람이 많아 복잡할것 같은데 나는 복잡하게 살고 있지는 않습니다.
사회가 구성되는 안정성은 내가 내 친구와만 알고 지내기 때문입니다.
내가 옆집에 이사오고 이사나가는 사람들에대해서 일일이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나는 내 친구하고만 이야기하면 복잡도는 O(N) 이됩니다.


70/20/10 법칙 - 구글은 혁신에 어떻게 투자하고 있을까?

구글은 70/20/10 분할 법칙을 사용합니다.

70프로

기존의 사업을 잘되는데 사용하라. 즉 광고시장입니다.
이것은 레리페이지가 빌게이츠에게 한수 배운것이라고 합니다.
기존의 사업이 중요하다는것이지요.
구글이 무조건 혁신만 하는것은 아닙니다.

20프로

새로운 사업을 하는데 사용하라.
지메일이라던가, 크롬이라던가 신규 사업에 대한것들이 여기서 나온것 같습니다.

10프로

말이 안되는 사업을 하는데 사용하라.
구글에는 인터스텔라 네트워크(?) 를 하는 사람도 있다고합니다. 인터넷이 아니구요.
범 우주적 네트웍을 하는거지요. 미래에 천왕성에 사람이 살고 있다고 해보면
극단적인 latency 를 가지는 네트웍이 됩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새로운 네트웍이 필요하겠지요? 50년 후를 위해서 개발한다고 하네요.